천년 고도 경주
경상북도 경주는 옛 신라(기원전 57~기원후 935)의 발상지이자 1,000여 년간 도읍이었다. 신라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많은 문화재와 유적지가 잘 보존되어 있어 2000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경주역사유적지구’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신라인이 그렸던 불교 이상세계를 형상화한 불국사와 빼어난 조각과 독창적 건축으로 높이 평가받는 석굴암을 비롯하여 동양 최고(最古)의 천문시설인 첨성대, 신라 불교 문화의 중심지인 황룡사지와 분황사 등 신라의 역사와 문화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유적지이다.

경주 남산(경상북도 경주시) - 남산 불곡의 석불좌상
특히 경주평야 일대에는 당시 왕족과 귀족들의 무덤인 거대한 고분이 많이 남아 있다. 여러 겹의 자작나무 껍질에 하늘을 나는 말을 그린 그림이 발견되었다 해서 이름이 붙여진 천마총, 신라 왕조의 화려한 공예기술을 알 수 있는 금관이 출토된 금관총을 비롯해 여러 고분이 무리를 지어 있는 광경은 또 하나의 장관을 이룬다.
현재 남아 있는 가장 큰 종인 ‘성덕대왕신종’은 한국의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인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과 종 머리 부분부터 몸체, 입구 부분까지 조각된 화려한 문양들이 특징적이다.
경주시 남쪽에 위치한 남산은 도읍을 지키는 요새 역할을 했던 곳으로 수많은 불교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신라시대의 숭산(崇山)신앙, 암석(岩石)신앙과 연관된 불교 문화가 남산에 집중되어 있어 남산 곳곳에서는 여러 불상을 만날 수 있다.
백제 도읍인 공주와 부여

무령왕릉(충청남도 공주시) - 백제 제25대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중국 남조계통의 벽돌무덤 형식을 띠고 있다.
공주에 있는 백제 제25대 왕인 무령왕과 왕비의 능인 무령왕릉을 비롯해 총 7기의 왕릉이 모여 있는 송산리 고분군은 백제시대 역사의 발자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무령왕릉은 껴묻거리(죽은 자를 매장할 때 함께 묻는 물건)가 거의 온전하게 발굴되어 유물들을 통해 당시 사회 생활상을 알 수 있다. 부여는 백제 후기 123년간 도읍지로서 백제문화의 전성기를 이루며 주변국에 상당한 영향력을 끼칠 만큼 많은 역사 유적지와 유물을 간직하고 있다.
능산리 고분군과 백제 멸망 시기의 사연을 담고 있는 낙화암, 백제 정원인 부여 궁남지는 자연경관과 함께 역사 속 한 장면을 보는 듯한 느낌을 주어 매력적인 관광지로 주목받고 있다.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2010년 경상북도 안동의 하회마을과 경주의 양동마을은 ‘한국의 역사마을’이란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선정되었다.
두 지역은 모두 조선시대 상류층을 가리키는 양반들이 모여 살았던 마을이자 대표적 씨족 마을로, 조선시대 지배층 특유의 전통 생활공간과 경관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문화 마을이다.

1. 경주 양동마을 - 500여 년 동안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대표적 민속 마을이다.
2. 하회별신굿탈놀이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 전승되어 오는 가면극으로, 지배층에 대한 풍자를 담은 대표적 탈놀이이다.
공통적으로 한국의 대표적 마을 입지 유형인 배산임수 형태를 하고 있으며, 주거 기능을 한 종가와 살림집, 휴식처가 되었던 정사와 정자, 교육이 이루어지던 서원과 서당 그리고 주변의 농경지와 자연경관까지 갖추어져 있다.
안동 하회마을은 17세기부터 풍산류씨들이 가옥과 서원을 짓고 대대로 살아온 집성촌으로 현재 기와집과 초가를 포함하여 450여 채의 가옥이 보존돼 있다. 낙동강 물길이 마을 전체를 감싸 안듯 흘러가며, 강 주변에는 울창한 소나무 숲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풍경이 장관을 이룬다.
마을의 안녕과 풍작을 비는 별신굿 행사 가운데 탈 공연인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낙동강변에서 즐기던 민속놀이인 ‘선유줄불놀이’도 전해오고 있다.
경주에서 형산강을 따라 16㎞ 동북쪽에 위치한 경주 양동마을은 조선시대 500여 년의 역사를 담고 있는 전통문화 마을이다.
160여 채의 기와집과 초가집이 옛 모습 그대로 전해지고 있는 양동마을은 산의 계곡을 따라 펼쳐진 경관, 자연과 어울려 오랜 전통을 간직한 집들, 양반 계층을 대표할 수 있는 자료들과 유교사상, 관습이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 마을로 평가받고 있다.
새만금 방조제
전라북도 군산에서 부안군 변산까지 총 33.9㎞에 이르는 방조제를 건설하여 갯벌과 바다를 육지로 바꾸었다.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기도 하다. 이 방조제 건설로 409㎢가 육지로 바뀌며 대한민국의 국토 면적도 그만큼 늘어났다.

가력배수갑문과 새만금 2호 방조제